안녕하세요, 리뷰마미입니다.
오늘은 9월 15일(금)부터 지원가능한 정부 정책의 동반자 청년보좌역 채용에 대해
무슨 일을 하는지 나도 지원할 수 있는지 연봉은 어느정도인지 알아보겠습니다!!!
◎ 청년보좌역은 무슨 일을 할까?
청년보좌역은 24개 각 장관실 소속으로 배치되어 청년의 입장에서 정부 정책을 바라보고 청년의 목소리를 정부정책에 반영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. 기존 9개 기관 시범운영에서 장관급 중앙행정기관 전체로 확대됩니다.
◈ 시범운영 : 기재부, 교육부, 행안부, 문체부, 복지부, 고용부, 국토부, 중기부, 금융위 (9개)
◈ 추가확대 : 과기부, 외교부, 통일부, 법무부, 국방부, 보훈부, 농식품부, 산업부, 환경부, 여가부, 해수부, 방통위, 공정위, 권익위, 개보위 (15개)
◎ 청년보좌역 채용형태
별정직 공무원으로 운영한 시범운영과 달리 이번에는 청년보좌역 채용형태를 "전문임기제 공무원 다급"으로 변경하여 채용합니다. 채용인원은 채용기관별 1~2명입니다. 전문임기제 공무원 다급은 무엇일까요?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밑에 다루겠습니다.
채용기관은 총 24개 기관입니다. 교육부, 외교부, 통일부, 법무부, 국방부, 환경부, 행정안전부, 국가보훈부, 보건복지부, 고용노동부, 여성가족부, 국토교통부, 기획재정부, 해양수산부, 문화체육관광부, 농림축산식품부, 산업통장사원부, 중소벤처기업부,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방송통신위원회, 공정거래위원회, 금융위원회, 국민권익위원회, 개인정보보호위원회
◎ 나도 지원가능할까?
만19~34세 청년이면 지원 가능하고, 기관별 요구 자격이 있어 희망하는 채용기관의 공고문을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. 채용공고는 9월 15일(금)부터 9월 25일(월)까지이며 각 기관 홈페이지나 인사혁신처 나라일터(https://gojobs.go.kr) 등에서 채용공고문 확인이 가능합니다. 중복지원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기관만 지원하시기 바랍니다.
◈ 채용형태: 전문임기제 다급
◈ 지원자격: 만 19~34세 청년 기관별 요구 자격 충족 필요
◈ 채용인원: 채용기관별 1~2명
◈ 채용기관: 교육부, 외교부, 통일부, 법무부, 국방부, 환경부, 행정안전부, 국가보훈부, 보건복지부, 고용노동부, 여성가족부, 국토교통부, 기획재정부, 해양수산부, 문화체육관광부, 농림축산식품부, 산업통장사원부, 중소벤처기업부,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방송통신위원회, 공정거래위원회, 금융위원회, 국민권익위원회, 개인정보보호위원회
◈ 주의사항: 중복지원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기관만 지원
보도자료에 나오지 않지만 궁금할만한 내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◎ 전문임기제 공무원 다급이 뭐야?
전문임기제 공무원은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 등이 요구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용되는 임기제 공무원입니다. 임기제공무원의 근무기간은 5년의 범위에서 해당 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간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. 임용하게 된 해당 사업이 계속되거나, 부득이한 사유로 근무기간 내에 사업이 종료되지 않아 근무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총 근무기간이 5년을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공고 절차를 거치지 않고 근무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.
◎ 전문임기제 공무원 급여(연봉) 얼마?
공무원보수규정을 통해 확인한 전문임기제 공무원 다급의 연봉은 상한액 64,776,000원에서 하한액 46,006,000원입니다. 채용 절차에 따라 자격, 경력 등을 고려하여 저 범위 내에서 협의 후 결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
각 기관별 채용공고가 나오면 정확한 채용 요건과 연봉수준이 나올텐데요.
한번 공고 나오는 것을 유심히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